ProblemSolving2 [PS] 알고리즘 문제 해결의 과정 알고리즘 코딩 공부를 하다보면 여러 블로그들을 보게 된다. 예전에 수기로 기록한 거라 어디 블로그인지는 모르겠지만, 내게는 자꾸 상기시키면 좋을 내용이라 남기려 한다. ★ 문제 해결의 과정 ★ 문제를 정확하게 이해한다. 문제를 해결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한다. 알고리즘이 문제를 해결한다는 것을 증명한다. 알고리즘이 제한시간 내에 동작한다는 것을 보인다. 알고리즘을 코드로 작성한다. 제출 후 만점을 받고 기뻐한다. 문제가 안 풀릴 때마다 기본에 충실하지 못하여 자꾸 앞 단계를 반복하는 일이 생긴다. 1단계도 되지 않은 채로 자꾸 5단계로 넘어가는 것이 가장 큰 문제다. 가장 중요한 1단계가 되었다면 2, 3, 4단계에 가장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 한다. 2, 3, 4 단계에 많은 시간을 할애해 한번에 100점 .. 2021. 3. 26. [BOJ] 2206. 벽 부수고 이동하기(Python) / BFS www.acmicpc.net/problem/2206 2206번: 벽 부수고 이동하기 N×M의 행렬로 표현되는 맵이 있다. 맵에서 0은 이동할 수 있는 곳을 나타내고, 1은 이동할 수 없는 벽이 있는 곳을 나타낸다. 당신은 (1, 1)에서 (N, M)의 위치까지 이동하려 하는데, 이때 최단 경로 www.acmicpc.net 꽤 고차원적인 BFS 문제이다. 이 문제 사실 4번째 푸는 문제더라.. 그 와중에 1시간 반 정도 걸려서 풀었다, 인풋부터 잘못 받아서 계속 틀렸다. int가 아니라 str로 받아서 자꾸 BFS를 퍼트리지 못했다ㅠㅠ bfs 함수 안에서 꽤 헤맸다. 폭탄 가지고 있을 때, 없을 때를 다른 visited에 표현 큐에 폭탄(벽 부술 기회) 정보와 위치 정보를 담으면서 BFS 퍼트리는 것이 핵.. 2021. 3. 7. 이전 1 다음